여러분 혹시 내가 사는 지역이 5만 원을 더 받을 수 있는 곳인지 아시나요? 2025년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그 모든 정보를 여기서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들어 지자체마다 재난지원금이 제각각이어서 헷갈리셨죠? 저도 부모님 댁이 시골이라 도대체 뭐가 되는지 찾아보다가 깜짝 놀랐어요. 알고 보니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이라는 항목에 해당하면 기본 지원금 외에 무려 5만 원이 더 나온다더라고요. 그런데 이걸 정확히 정리한 글이 없어서, 저처럼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시원하게 정리해드리려고 해요. 내가 사는 곳이 84곳에 들어가는지, 어떻게 증빙해야 하는지, 언제 신청하는지… 다 알려드릴게요!
목차
84개 인구감소지역 목록 한눈에 보기
2025년 기준 정부가 지정한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은 총 84곳입니다. 대부분은 중소 시군구 단위이며, 대도시 자치구는 제외되어 있어요. 여러분이 현재 거주 중인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면, 추가 지원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은 전국 총 84개 시군으로, 지역별로 다음과 같습니다. 대구는 군위군, 인천은 강화군과 옹진군이 포함됩니다. 경기도에서는 가평군과 연천군, 강원도는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이 해당되며, 충북은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가 포함됩니다. 충남은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이며, 전북은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이 해당됩니다. 전남 지역에서는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이 포함되고, 경북은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이 해당됩니다. 마지막으로 경남에서는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원금은 얼마? 누구에게 더 주나?
이번 지원금은 기본 지급액 외에도 추가 금액이 붙습니다. 특히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 1인당 5만 원이 더해져 지급됩니다. 지역에 따라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거죠.
지원 대상 | 추가지급액 |
---|---|
비수도권 일반지역 | 3만원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84곳) | 5만원 |
신청 기간과 방법 총정리
신청은 총 두 차례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카드사나 상품권 앱, 혹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이 힘든 분들은 오프라인을 이용하면 되죠.
- 1차 신청: 7월 21일 ~ 9월 12일
- 2차 신청: 9월 22일 ~ 10월 31일
- 신청 방법: 카드사,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택일
-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 방문 접수
주소 기준일과 신청 조건은?
기준일은 2025년 6월 18일입니다. 이 날짜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84개 인구감소지역 중 하나로 되어 있어야 5만 원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꼭 당일 등재되어 있어야 하며, 이후 전입은 소급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주소지는 주민등록등본상 주소로 판단되고, 미성년자의 경우 세대주가 신청합니다. 다만 세대 내에 성인이 없을 경우에는 미성년자 본인이 세대주로서 직접 신청이 가능합니다.
거주 증빙서류, 이렇게 준비하세요
신청 시 기본적으로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해야 하고, 필요 시 추가 서류를 요구받을 수 있어요. 특히 외국인이나 기숙사 거주자 등은 대체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증빙서류 | 설명 |
---|---|
주민등록등본 | 주소지 확인을 위한 기본 서류 |
부동산 임대차계약서, 등기부등본 | 실거주 증빙이 필요한 경우 |
외국인등록사실증명 | 외국인 거주자에 해당 |
고용계약서, 재직증명서 | 경제활동을 통한 거주 증빙 |
자주 묻는 질문 BEST 6
-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가요?
- 84개 지역에 거주 중인데 주민등록만 옮기면 추가 지원받나요?
- 이사 직후 주소를 옮긴 경우도 해당되나요?
- 성인이 없는 세대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 지역사랑상품권은 어디서 신청하죠?
- 주소지가 읍면과 동이 섞여있는데 기준은?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요. 단, 일부 지역사랑상품권은 오프라인 신청만 가능하니 지자체 확인이 필수입니다.
84개 지역에 거주 중인데 주민등록만 옮기면 추가 지원받나요?
기준일인 6월 18일 이전까지 전입신고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이후에 주소를 옮기면 추가지원 대상이 되지 않아요.
이사 직후 주소를 옮긴 경우도 해당되나요?
주소 이전일이 기준일인 6월 18일보다 늦으면 해당되지 않습니다. 날짜 확인이 중요해요!
성인이 없는 세대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세대 내 성인이 없다면 미성년자가 세대주로서 직접 신청할 수 있어요. 단, 본인 명의의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어디서 신청하죠?
지역사랑상품권은 각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한 플랫폼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일부는 주민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
주소지가 읍면과 동이 섞여있는데 기준은?
시군구 단위가 아닌 읍면동까지 구체적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해당 시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됩니다. 동 지역은 대부분 제외돼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정리로 “내가 사는 동네도 5만 원 더 받을 수 있었는데…” 하는 상황은 막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정부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결국 정보는 ‘찾는 자의 것’이니까요. 혹시 주변에 아직 이 내용을 모르는 가족이나 친구가 있다면 꼭 공유해 주세요. 직접 신청 못 하신 부모님을 위해 알려드리는 것도 좋고요. 앞으로도 실생활에 꼭 필요한 지원 정책, 알기 쉽게 계속 정리해드릴게요. 댓글이나 의견 남겨주시면 다음 콘텐츠에 반영할게요 😊
🏞️ 추가 5만원 지급 받는 지역이 따로 있습니다.
지금 내 지역이 포함되는지 확인해보세요!